한국생물공학회 회원님들 안녕하신지요? 지난 2년간 전세계의 인류 생존을 위협해온 코로나도 이제는 정점에 이르러 진정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그 위협은 그치지 않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변의 지인들이 하나둘씩 확진자가 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어서 많이 염려가 되고 있습니다. 회원님들이 건강한 모습으로 코로나 위기가 마치…
해양생명공학이란 해양생물의 구성성분, 생명기능, 생체시스템공정 등을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인류 복지를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해양생명공학은 다학제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해양학 분야 즉, 해양생물학, 해양화학, 수산학 등 전통 학문에 바탕을 두고 분자생물학, 면역학, 생화학, 약학, 생물공학 등의 생물학적 탐구가 수반되어야 한…
1. 서론 줄기세포(stem cell)는 자가복제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만능세포를 뜻한다. 이에 줄기세포는 노화, 질병, 부상 등으로 손상된 조직과 장기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1,2]. 그러나 줄기세포가 실제 임상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다…
운영·지원과제 개요 신·변종 감염병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2021년 6월부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신·변종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감염병의 확산 예측부터 신속 진단, 치료, 예방까지 감염병 대응 전주기에 대한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2024년까지 12개 과제에 대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김나영 ( Imperial College London Department of Materials,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and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한국생물학회 소식지의 젊은 BT인란에 기고의 기회를 주신 관계자 분들과 인천대학교 김은정 교수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 아직 BT인으로 불리기엔 너무나 부족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BT분야 연구인으로서 지나온 길을 공유하고, 그 시간을 함께 나눈 모든 분들께 이 글을 빌려 감사하는 말씀을 전하고 싶다. BT인으로서의 길…
시작하기 전에 글을 써 내려가기 앞서 BT 스토리란에 기고의 기회를 주신 BT News 편집위원회 관계자분들과 홍익대학교 김래현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석사를 마칠 무렵 해외 학회를 다녀온 글을 쓴지 8년 만에 다시 글을 쓰게 되니 감회가 무척 새롭다. 본 글에서는 짧은 기간이지만 내가 BT인으로서 한국과 미국에서 공부하며 성장한 과정 그…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RNA바이러스연구실을 소개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박수진 교수님 지도 아래, 현재 대학원생 3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신생연구실로서,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을 밝히고자 역유전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바이러스의 치료제 스크리닝 및 백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험실 구성원 사진. 왼쪽…
한국생물공학회 출판위원회에서는 미래 성장동력산업인 생물공학 연구에 매진하고 계신 회원님들께 생물공학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연구 활성화를 위하여 출판사업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생물공학회의 출판사업은 학술저서를 원하시는 학회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는 지원사업입니다. 학회에서 안내하는 지원사업에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생물공…
○ 한국생물공학회 사무실 이전 및 개소식 개최•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39길 5 서초동 두산위브 제 2층 201호• 개소식 개최: 2022년 2월 18일(금) 14:00○ 2021년도 인수인계 보고• 일 시: 2022년 2월 4일(금) 11:00• 장 소: 학회사무국○ 확대임원회의제1차 확대임원회의 및 제2차 이사회의• 일 시: 2022년 2월…